![[AWS] EC2 서버에 프로젝트 배포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kCAT6%2FbtssS233qfs%2FRfG4aGwOrftBt5QUxmf8Xk%2Fimg.png)
EC2에 프로젝트 Clone 받기 1. putty 실행 후, git 설치 #git 설치 sudo yum install git #치 상태 확인 git --version 2. 프로젝트를 저장할 디렉터리 생성 후, git clone #디렉토리 생성 mkdir ~/app && mkdir ~/app/step1 #생성한 디렉토리로 이동 cd ~/app/step1 #git clone git clone https://github.com/rhrudska987/springboot-webservice.git #프로젝트로 이동 cd springboot-webservice #파일 목록 상세 보기 ll 3. 코드들이 잘 수행되는지 테스트로 검증 ./gradlew test #-bash: ./gradlew: Permission de..
![[AWS] RDS 생성 후, 연결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WdrKD%2FbtsrcsPD8kt%2FTpGRpMZF8mVOYb0hoqG3Sk%2Fimg.png)
RDS란?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란 AWS에서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입니다. 하드웨어 프로비저닝, 데이터베이스 설정, 패치 및 백업과 같은 잦은 운영 작업을 자동화하여 개발자는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게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추가로 조정 가능한 용량을 지원하여 예상치 못한 양의 데이터가 쌓여도 비용만 추가로 내면 정상적으로 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RDS 생성하기 1. AWS에서 RDS 검색 후, 데이터베이스 생성 클릭 2. 사용할 DB 선택 (MariaDB가 가격이 저렴합니다.) MariaDB는 MySQL을 기반으로 만들어졌기에 사용법이 MySQL과 유사합니다. 3. 템플릿 선택 4. 인스턴스 이름과 마스터 사용자 정보 등록 사용자 정보로..
![[AWS] EC2 서버 환경 만들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HRy7d%2Fbtsq5bHtqNF%2FIS0g64Icwp3r3kKXbxK4DK%2Fimg.png)
외부에서 본인이 만든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24시간 작동하는 서버가 필요합니다. 24시간 작동하는 서버에는 3가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집 pc를 24시간 구동 호스팅 서비스를 이용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 이 중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할 계획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 유동적으로 사양을 늘릴 수 있기에 특정 시간에 트래픽이 몰려도 괜찮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가 있지만 이 중에서 AWS를 선택하였습니다. 이유는 아래 사진에 있습니다. EC2 생성하기 EC2(Elastic Computer Cloud)란 아마존 웹 서비스(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 성능, 용량 등을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버입니다. 쉽게 말해 AWS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가상의 컴..